-
목차
📶 랜선 길이가 인터넷 속도에 영향을 미칠까?
인터넷이 느려질 때 “혹시 랜선이 너무 길어서 그런 건 아닐까?”라는 의문을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. 실제로 랜선 길이는 어느 정도까지 인터넷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, 설치 환경과 케이블 종류에 따라 그 차이는 다르게 나타납니다.
📏 랜선 길이의 이론적 한계
- 표준 이더넷 규격(CAT5e, CAT6, CAT6a 등)은 최대 100m까지 속도 저하 없이 사용 가능
- 100m를 초과하면 신호 감쇠(데이터 손실) 발생
- 가정이나 사무실 내 10~30m 범위에서는 속도 저하 거의 없음
즉, 100m 이내에서는 랜선 길이 때문에 인터넷이 느려지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.
📊 실제 테스트: 길이에 따른 속도 비교
케이블 길이 다운로드 속도 핑 (ms) 3m (CAT6) 942 Mbps 2 ms 15m (CAT6) 940 Mbps 2~3 ms 30m (CAT5e) 938 Mbps 3 ms 90m (CAT6) 915 Mbps 5 ms ※ 1Gbps 인터넷 환경 / 공유기: 기가비트 지원 / 측정 도구: Speedtest
결론: 90m 가까운 거리까지도 속도는 거의 차이 없으며, 100m 이내에서는 걱정할 수준이 아닙니다.
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진짜 원인들
1. 케이블 품질 문제
길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케이블 품질입니다. 저가형 CAT5 케이블은 100Mbps까지만 지원하기도 하며, 내부 차폐 구조가 약해 간섭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.
2. 연결 포트 불량
벽면 랜포트, 커넥터, 허브 등 중간 연결부에서 접촉 불량이 있으면 속도 저하 또는 끊김이 발생합니다.
3. 케이블 라우팅 환경
전기선, 형광등, 모터 등 전자기 간섭이 많은 환경에서는 랜선 품질이 좋아도 신호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🧩 추천 랜선 규격은?
- CAT5e: 1Gbps 지원, 가정용 충분
- CAT6: 1~10Gbps, 간섭 차단 성능 우수, 게임용 추천
- CAT6a 이상: 10Gbps 이상, 4K 스트리밍/서버용
길이가 20m를 넘는 경우에는 최소 CAT6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💡 랜선 설치 시 꿀팁
- 10m 이상일 경우 차폐(Shielded) 케이블 사용 권장
- 케이블은 감거나 접지 말고 여유 있게 설치
- 전선/콘센트와 겹치지 않게 배선
- RJ45 커넥터가 헐거우면 접촉 불량 발생 가능 → 교체 요망
💬 결론: 랜선 길이보다 품질이 중요합니다
일반적인 가정이나 사무 환경에서 20~30m 이내의 랜선 사용은 인터넷 속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. 오히려 중요한 것은 케이블의 규격(CAT 등급), 품질, 설치 환경입니다.
만약 속도가 느려졌다면, 랜선 길이보다 먼저 케이블 상태와 장비 상태를 점검해보세요.
'컴퓨터 주변기기 & 하드웨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듀얼 모니터 화면 색감이 다를 때, 어떻게 해결할까? (0) 2025.03.27 노트북 보조 배터리,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? (0) 2025.03.27 PC 케이스 팬 개수 늘리면 쿨링 성능이 좋아질까? (0) 2025.03.26 노트북 충전기 호환되는지 확인하는 방법 (0) 2025.03.26 윈도우 & 맥에서 USB 포맷이 다를 때 해결법 (0) 2025.03.26 맥북 전원 어댑터 고장났을 때 대체하는 방법 (0) 2025.03.25 게이밍 키보드 & 일반 키보드, 차이점 정리 & 추천 (0) 2025.03.25 빠른 부팅을 위한 바이오스(BIOS) 설정법 (0) 2025.03.2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