88-TECH

알아두면 쓸모있는 IT 테크

  • 2025. 2. 12.

    by. 88테크

    목차

      랜선 직접 만드는 방법 (RJ45 커넥터 사용법 포함)

      🔧 랜선 직접 만드는 방법 – RJ45 커넥터 사용법 포함!

      직접 랜선을 만들면 원하는 길이로 깔끔하게 배선할 수 있고,
      기성품보다 저렴하게 랜선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.
      RJ45 커넥터를 이용한 랜선 제작 방법을 쉽게 정리해드릴게요! 🎯

       

      랜선 직접 만드는 방법 (RJ45 커넥터 사용법 포함)


      📌 1️⃣ 랜선을 직접 만들 때 필요한 준비물

      ✅ 필수 도구 & 재료

       

      🔹 랜 케이블 (CAT5E, CAT6, CAT7 중 선택)
      🔹 RJ45 커넥터 (8P8C 규격)
      🔹 랜툴(크림핑 툴, 압착기) – RJ45 커넥터 결합용
      🔹 피복 제거기(스트리퍼) or 커터칼 – 랜선 내부 피복 제거
      🔹 테스터기(랜 케이블 테스터기) – 정상 연결 확인용 (없어도됨)


      🏗 2️⃣ 랜선 만드는 방법 (단계별 가이드)

      [1] 랜선의 피복을 벗긴다

      ✔️ 랜툴(피복 제거기)을 사용하여 케이블 끝부분 약 2~3cm 피복을 제거
      ✔️ 내부에 **8가닥(4쌍)의 꼬인 선(트위스트 페어)**이 나옴


      [2] 내부 선 정렬 (T568A vs T568B 규격 확인)

      📌 랜 케이블은 8가닥의 선이 있으며, T568A 또는 T568B 규격으로 정렬해야 합니다!
      📌 양쪽 모두 같은 방식(T568B or T568A)으로 연결하면 "직선 케이블"
      📌 한쪽은 T568A, 한쪽은 T568B로 연결하면 "크로스 케이블" (일반적으로 필요 없음)

       

      핀 번호 🟢 T568A 규격 🔵 T568B 규격    (일반적으로 많이 사용!)
      1 초록/흰색 주황/흰색
      2 초록 주황
      3 주황/흰색 초록/흰색
      4 파랑 파랑
      5 파랑/흰색 파랑/흰색
      6 주황 초록
      7 갈색/흰색 갈색/흰색
      8 갈색 갈색

       

      🔹 일반적으로 T568B 규격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!
      🔹 반드시 양쪽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해야 정상 작동합니다.

      ✔️ 8가닥의 선을 위 규격에 맞게 정렬
      ✔️ 꼬여 있는 선을 풀어서 일자로 가지런히 정리


      [3] RJ45 커넥터에 케이블 삽입

      ✔️ 정렬한 선을 RJ45 커넥터 방향에 맞게 삽입
      ✔️ 금속 핀이 위쪽을 향하도록 한 후 끝까지 밀어넣기
      ✔️ 선이 끝까지 닿았는지 확인 (투명한 커넥터에서 끝까지 보이면 OK!)

       

      ⚠️ 주의할 점:
      ✅ 선이 빠지지 않도록 끝까지 밀어넣어야 함
      ✅ 핀 순서가 뒤바뀌지 않도록 다시 한 번 확인


      [4] 크림핑(압착) 작업 – RJ45 커넥터 고정

      ✔️ 크림핑 툴(압착기)에 RJ45 커넥터를 넣고 꽉 눌러줍니다
      ✔️ 금속 핀이 케이블 내부 도선을 눌러 전기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도록 함

      ⚠️ 주의할 점:
      ✅ 너무 약하게 하면 핀이 제대로 접촉되지 않음
      ✅ 너무 강하게 누르면 핀이 손상될 수 있음

       

      랜선 직접 만드는 방법 (RJ45 커넥터 사용법 포함)


      [5] 반대쪽도 같은 방식으로 작업 & 연결 테스트

      ✔️ 반대편도 같은 방식(T568B 규격)으로 작업
      ✔️ 랜 테스터기를 사용해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흐르는지 확인
      ✔️ 직접 PC에 연결하여 인터넷이 되는지 테스트!


      🏆 3️⃣ 랜선 만들 때 자주 하는 실수 & 해결 방법

      1) 선 정렬 순서가 틀린 경우

      해결 방법:
      ✔️ RJ45 커넥터를 제거하고 다시 정렬한 후 새 커넥터로 작업
      ✔️ 크림핑한 커넥터는 재사용 불가 (새 커넥터 필요)


      2) 선이 끝까지 삽입되지 않은 경우

      해결 방법:
      ✔️ 선이 RJ45 커넥터 끝까지 닿았는지 확인
      ✔️ 크림핑 전에 투명한 커넥터에서 선 끝이 보이는지 체크


      3) 압착이 약해서 연결이 불안정한 경우

      해결 방법:
      ✔️ 크림핑 툴을 사용할 때 충분한 압력으로 눌러줘야 함
      ✔️ 여러 번 눌러서 확실하게 접촉되었는지 확인


      🚀 4️⃣ 랜선 직접 만들 때 꼭 알아야 할 팁!

      1) 랜 케이블 길이는 100m 이하로 유지
      ✔️ CAT6 이상 케이블이라도 100m를 넘으면 신호 감쇠 발생
      ✔️ 최적의 성능을 위해 50m 이하 추천

       

      2) 실드 케이블(STP, FTP)은 접지 필요
      ✔️ 전자기 간섭이 많은 환경에서는 차폐 케이블(STP or FTP) 사용 추천
      ✔️ 차폐 케이블을 사용할 경우, RJ45 커넥터도 차폐용(Shielded)으로 사용해야 효과적

       

      3) 테스트 필수! (테스터기 or 직접 연결 확인)
      ✔️ 랜선 제작 후 테스터기로 핀 정렬 & 연결 여부 체크
      ✔️ 테스터기가 없다면 PC ↔ 공유기 직접 연결하여 인터넷 확인

       

      4) CAT6 이상 케이블 사용 추천
      ✔️ CAT5E는 1Gbps까지만 지원, 향후 10Gbps 대비하려면 CAT6A 추천
      ✔️ 차폐가 필요하면 FTP / STP 케이블 사용 고려


      🎯 5️⃣ 결론 – 랜선 직접 만들면 뭐가 좋을까?

      직접 만들면 원하는 길이로 맞춤 제작 가능
      비용 절감 (기성품보다 저렴하게 제작 가능)
      배선 정리가 편리하고 깔끔함

       

      🎯 추천하는 작업용 키트
      ✔️ 크림핑 툴 세트 (RJ45 압착기 + 테스터기 포함)
      ✔️ CAT6 FTP 랜 케이블 (차폐 기능 & 1Gbps 이상 지원)
      ✔️ RJ45 커넥터 (Shielded 또는 일반형 선택 가능)

       

      🔥 이제 여러분도 직접 랜선을 만들어보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