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목차
🔧 랜선 직접 만드는 방법 – RJ45 커넥터 사용법 포함!
✅ 직접 랜선을 만들면 원하는 길이로 깔끔하게 배선할 수 있고,
✅ 기성품보다 저렴하게 랜선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.
✅ RJ45 커넥터를 이용한 랜선 제작 방법을 쉽게 정리해드릴게요! 🎯
📌 1️⃣ 랜선을 직접 만들 때 필요한 준비물
✅ 필수 도구 & 재료
🔹 랜 케이블 (CAT5E, CAT6, CAT7 중 선택)
🔹 RJ45 커넥터 (8P8C 규격)
🔹 랜툴(크림핑 툴, 압착기) – RJ45 커넥터 결합용
🔹 피복 제거기(스트리퍼) or 커터칼 – 랜선 내부 피복 제거
🔹 테스터기(랜 케이블 테스터기) – 정상 연결 확인용 (없어도됨)
🏗 2️⃣ 랜선 만드는 방법 (단계별 가이드)
✅ [1] 랜선의 피복을 벗긴다
✔️ 랜툴(피복 제거기)을 사용하여 케이블 끝부분 약 2~3cm 피복을 제거
✔️ 내부에 **8가닥(4쌍)의 꼬인 선(트위스트 페어)**이 나옴
✅ [2] 내부 선 정렬 (T568A vs T568B 규격 확인)
📌 랜 케이블은 8가닥의 선이 있으며, T568A 또는 T568B 규격으로 정렬해야 합니다!
📌 양쪽 모두 같은 방식(T568B or T568A)으로 연결하면 "직선 케이블"
📌 한쪽은 T568A, 한쪽은 T568B로 연결하면 "크로스 케이블" (일반적으로 필요 없음)핀 번호 🟢 T568A 규격 🔵 T568B 규격 (일반적으로 많이 사용!) 1 초록/흰색 주황/흰색 2 초록 주황 3 주황/흰색 초록/흰색 4 파랑 파랑 5 파랑/흰색 파랑/흰색 6 주황 초록 7 갈색/흰색 갈색/흰색 8 갈색 갈색 🔹 일반적으로 T568B 규격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!
🔹 반드시 양쪽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해야 정상 작동합니다.✔️ 8가닥의 선을 위 규격에 맞게 정렬
✔️ 꼬여 있는 선을 풀어서 일자로 가지런히 정리
✅ [3] RJ45 커넥터에 케이블 삽입
✔️ 정렬한 선을 RJ45 커넥터 방향에 맞게 삽입
✔️ 금속 핀이 위쪽을 향하도록 한 후 끝까지 밀어넣기
✔️ 선이 끝까지 닿았는지 확인 (투명한 커넥터에서 끝까지 보이면 OK!)⚠️ 주의할 점:
✅ 선이 빠지지 않도록 끝까지 밀어넣어야 함
✅ 핀 순서가 뒤바뀌지 않도록 다시 한 번 확인
✅ [4] 크림핑(압착) 작업 – RJ45 커넥터 고정
✔️ 크림핑 툴(압착기)에 RJ45 커넥터를 넣고 꽉 눌러줍니다
✔️ 금속 핀이 케이블 내부 도선을 눌러 전기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도록 함⚠️ 주의할 점:
✅ 너무 약하게 하면 핀이 제대로 접촉되지 않음
✅ 너무 강하게 누르면 핀이 손상될 수 있음
✅ [5] 반대쪽도 같은 방식으로 작업 & 연결 테스트
✔️ 반대편도 같은 방식(T568B 규격)으로 작업
✔️ 랜 테스터기를 사용해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흐르는지 확인
✔️ 직접 PC에 연결하여 인터넷이 되는지 테스트!
🏆 3️⃣ 랜선 만들 때 자주 하는 실수 & 해결 방법
❌ 1) 선 정렬 순서가 틀린 경우
✅ 해결 방법:
✔️ RJ45 커넥터를 제거하고 다시 정렬한 후 새 커넥터로 작업
✔️ 크림핑한 커넥터는 재사용 불가 (새 커넥터 필요)
❌ 2) 선이 끝까지 삽입되지 않은 경우
✅ 해결 방법:
✔️ 선이 RJ45 커넥터 끝까지 닿았는지 확인
✔️ 크림핑 전에 투명한 커넥터에서 선 끝이 보이는지 체크
❌ 3) 압착이 약해서 연결이 불안정한 경우
✅ 해결 방법:
✔️ 크림핑 툴을 사용할 때 충분한 압력으로 눌러줘야 함
✔️ 여러 번 눌러서 확실하게 접촉되었는지 확인
🚀 4️⃣ 랜선 직접 만들 때 꼭 알아야 할 팁!
✅ 1) 랜 케이블 길이는 100m 이하로 유지
✔️ CAT6 이상 케이블이라도 100m를 넘으면 신호 감쇠 발생
✔️ 최적의 성능을 위해 50m 이하 추천✅ 2) 실드 케이블(STP, FTP)은 접지 필요
✔️ 전자기 간섭이 많은 환경에서는 차폐 케이블(STP or FTP) 사용 추천
✔️ 차폐 케이블을 사용할 경우, RJ45 커넥터도 차폐용(Shielded)으로 사용해야 효과적✅ 3) 테스트 필수! (테스터기 or 직접 연결 확인)
✔️ 랜선 제작 후 테스터기로 핀 정렬 & 연결 여부 체크
✔️ 테스터기가 없다면 PC ↔ 공유기 직접 연결하여 인터넷 확인✅ 4) CAT6 이상 케이블 사용 추천
✔️ CAT5E는 1Gbps까지만 지원, 향후 10Gbps 대비하려면 CAT6A 추천
✔️ 차폐가 필요하면 FTP / STP 케이블 사용 고려
🎯 5️⃣ 결론 – 랜선 직접 만들면 뭐가 좋을까?
✅ 직접 만들면 원하는 길이로 맞춤 제작 가능
✅ 비용 절감 (기성품보다 저렴하게 제작 가능)
✅ 배선 정리가 편리하고 깔끔함🎯 추천하는 작업용 키트
✔️ 크림핑 툴 세트 (RJ45 압착기 + 테스터기 포함)
✔️ CAT6 FTP 랜 케이블 (차폐 기능 & 1Gbps 이상 지원)
✔️ RJ45 커넥터 (Shielded 또는 일반형 선택 가능)🔥 이제 여러분도 직접 랜선을 만들어보세요!
'컴퓨터 주변기기 & 하드웨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C와 주변기기 멀티탭 하나로 연결해도 괜찮을까? (0) 2025.02.12 서지 보호 기능이 있는 멀티탭이 꼭 필요한 이유 (0) 2025.02.12 고속 충전 멀티탭 고르는 법 - USB PD 지원 차이점 (0) 2025.02.12 컴퓨터 멀티탭 추천 - 전압, 전력 보호 기능 확인하기 (0) 2025.02.12 100Mbps vs 1Gbps 속도 차이 - 랜선이 영향을 줄까? (0) 2025.02.12 인터넷 속도 느릴 때 랜선 교체해야 할까? (0) 2025.02.12 랜선 CAT5E vs CAT6 vs CAT7, 집에서 어떤 걸 써야 할까? (0) 2025.02.12 키보드 키캡 교체하는 방법 - PBT vs ABS 차이점 (0) 2025.02.1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