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목차
와이파이 공유기를 2개 연결하면 속도가 더 빨라질까? 단순히 연결한다고 속도가 오르진 않습니다!
속도와 커버리지 향상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설정 팁까지 정리해드립니다.
📌 목차
- 공유기 2개 연결, 속도가 빨라질까?
- 와이파이 속도 결정 요소
- 공유기 2대 활용법 – 속도보다 커버리지!
- 올바른 연결 방식과 추천 시나리오
- 잘못 연결하면 생기는 문제점 ⚠️
- 마무리 요약 & 스마트한 선택법
1. 공유기 2개 연결, 속도가 빨라질까? ❌✨
먼저 결론부터 말할게요:
👉 "공유기 2개를 연결한다고 해서 무조건 속도가 빨라지지는 않습니다!"
많은 분들이 "기계가 2개면 속도도 2배?"라고 생각하시지만,
실제 와이파이 속도는 단순한 기기 개수가 아니라
인터넷 회선 품질, 네트워크 구성, 신호 간섭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결정됩니다.2. 와이파이 속도 결정 요소는? ⚙️
와이파이 속도는 아래 요소들의 영향을 받아요:
- 🌐 인터넷 회선 자체 속도 (KT, LG U+, SK 등에서 제공하는 회선의 최대 속도)
- 📡 공유기의 성능 (지원 속도, 듀얼밴드/트라이밴드 여부 등)
- 🧱 장애물 (벽, 가구, 바닥 등)
- 📍 기기와 공유기 사이 거리
- 📱 접속 기기 수 (많을수록 속도 분산 발생)
공유기를 2개 설치하더라도 회선 자체가 100Mbps라면
공유기를 100개 달아도 속도는 그 이상 나오지 않아요 😅3. 공유기 2대, 속도보다 ‘커버리지’ 확장용 🌍
공유기 2대를 활용하는 진짜 이유는?
👉 무선 신호 범위를 넓히는 것!
예를 들어:
- 📶 1층에 메인 공유기
- 📶 2층에 보조 공유기
이렇게 설치하면 집 전체에 와이파이 신호가 고르게 퍼질 수 있어요.
이런 경우는 속도 향상보다는
‘끊김 없는 연결’과 안정적인 커버리지 확보가 핵심입니다!4. 공유기 2대 연결, 어떻게 해야 할까? 🔌
✅ ① 유선 브리지 연결 (AP 모드)
가장 추천되는 방식!
- 메인 공유기에서 랜선으로 보조 공유기에 연결
- 보조 공유기는 ‘Access Point(무선 확장기)’ 역할
- 안정성 & 속도 둘 다 확보 가능
✅ ② 무선 리피터 / 와이파이 확장기 연결
랜선을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
- 보조 공유기를 ‘리피터 모드’로 설정
- 신호 중계 역할, 다만 속도 반감 현상 생길 수 있음
✅ ③ Mesh 시스템 구성
요즘 가장 핫한 방식!
- 두 공유기가 같은 SSID로 작동
- 집안 어디서든 끊김 없이 자동 연결 전환
- 단, Mesh 지원 공유기 필요
5. 잘못 연결하면 생기는 문제점 ⚠️
공유기 2대를 제대로 설정하지 않으면 오히려 속도 저하 + 충돌을 유발할 수 있어요!
🚨 주의해야 할 점:
- 서로 다른 IP 주소 충돌 → 인터넷 불안정
- DHCP 중복 설정 → 네트워크 충돌
- 중복된 SSID → 자동 연결 오류
- 무선 중계만 하면 속도 반감(50% 이하) 가능성
📌 설정할 때는 한 공유기만 DHCP 활성화, 나머진 꺼주세요!
6. 마무리 요약 & 스마트한 선택법 🧠✅
✅ 정리하자면:
- 공유기 2개 연결 = 속도 향상이 아닌 커버리지 향상
- 속도를 올리려면 인터넷 회선 자체의 업그레이드 필요
- 올바른 방식으로 설정하면 신호 품질 개선 + 연결 안정성 강화
- Mesh 시스템은 최상의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합니다!
'컴퓨터 주변기기 & 하드웨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SD & HDD 데이터 복구 가능한 방법은? (0) 2025.03.30 외장하드 데이터 손상 방지하는 저장 습관 (0) 2025.03.29 키보드 청축 vs 적축 vs 갈축, 어떤 게 좋을까? (0) 2025.03.28 USB 메모리 속도 저하 문제 해결하는 법 (0) 2025.03.28 컴퓨터 멀티탭에 여러 기기 연결해도 괜찮을까? (0) 2025.03.28 맥북에서 HDMI 연결했을 때 화면 안 나올 때 해결법 (0) 2025.03.27 듀얼 모니터 화면 색감이 다를 때, 어떻게 해결할까? (0) 2025.03.27 노트북 보조 배터리,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? (0) 2025.03.27